본문 바로가기

Algorithm/Computational Thinking

(4)
BOJ 2516 (원숭이) - CT 풀이 만나면 좋은 친구도 많지만, 우리는 살다 보면 그 반대의 사람도 상당히 많이 만나게 됩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그런 사람과 최대한 만날 상황을 피하려고 하게 되지만 직장 생활을 하게 되면 그럴 수 없는 경우가 더 많이 있습니다. 문제의 원숭이들도 앙숙 원숭이와 만나는 상황을 피하고 싶어 하지만 2개의 우리밖에 없는 상황에서 모든 앙숙과 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죠. 그래서 원숭이마저도 1명의 앙숙 하고 같이 지내는 것은 이해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ㅎㅎ 우리 역시도 앞서 말한 것처럼 언제나 앙숙들을 만납니다. 회사에 들어가서 역시 마찬가지일테고요. 하지만 회사 생활이 군대도 아니고,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욕만 하고 사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또, 그 사람 때문에 회사의 모든 것이 다 싫어진다면 더 큰 ..
BOJ 2533 (사회망 서비스(SNS)) - CT 풀이 이 문제를 혼자서 풀었을 때에는 그냥 DFS 알고리즘으로만 풀어도 되는 것인가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잘 풀리지 않아서 다른 블로그들을 참고해보니 트리에 DP를 적용시키는 문제라고 하더군요.. 여하튼 트리 형태에서 DP를 어떤 식으로 해야 하는지 본 문제를 풀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2533번: 사회망 서비스(SNS)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과 같은 사회망 서비스(SNS)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사회망을 통하여 사람들이 어떻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게 되는가를 이해하는 문제가 중요해졌다. 사회망 www.acmicpc.net 문제 설명) 친구 관계 그래프에서 얼리어답터가 아닌 인원의 인접한 모든 친구가 얼리어답터면 아이디어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가정할 때에 모든 인원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필..
BOJ 21758 (꿀 따기) - CT 풀이 문제가 꿀 얘기이다 보니까 예전에 군대에서 이등병 때에 여러 이유로 잡일에 빠졌다고 꿀벌이라고 불렸던 기억이 났습니다. (물론 그 이후로는 아주 성실하게 만기로 전역했습니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니 꿀벌 입장에서는 열심히 일을 하는 것 뿐인데, 꿀을 빤다는 얘기가 인간들에게는 게으르고, 할 일을 잘 뺀다는 의미로 쓰는 걸 안다면 참 억울하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네요 ㅎㅎ 21758번: 꿀 따기 첫 번째 줄에 가능한 최대의 꿀의 양을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설명) 이 문제는 수열이 주어지고, 해당 수열에서 두 벌의 위치와 꿀통의 위치를 조절해서 모을 수 있는 최대의 꿀의 양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여기서 벌은 각각 꿀통까지 일직선으로 날아가면서 순차적으로 지나가는 숫자들만큼의 꿀을 모읍니다..
BOJ 19940 (피자 오븐) - CT 풀이, 첫 게시글 비전공자로 살던 제가 SSAFY를 준비하면서, 처음으로 티스토리 계정을 만들고, 글을 쓰면서 내 개발 공부에 기록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특히나 알고리즘에 관하여 CT시험 준비를 통해 처음 배우게 되면서 정확히 맞지는 않더라도 내 풀이를 기록해 놓아야 그때에 내가 얼마나 잘 알고 풀었는지 아니면, 모르고 대충 풀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은 마음에 오늘부터 백준 문제를 몇 개 가져와서 풀이를 남겨보려고 합니다. 기초를 잘 알지 못하는 비전공자에 개발 초심자로서 쓴 글이기 때문에 제 글을 보시는 분들이 부디 제 풀이를 맹신하여 풀거나, 너무 큰 비난을 하지는 않아주셨으면 합니다. 다만, 잘못된 풀이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매너만 지키신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9940번: 피자 오븐 각각의 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