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차는 개발을 시작하거나 시작하기 앞서 컨셉 등의 기획을 마무리하고, 구현할 기능 명세서,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지라를 사용해서 서로의 역할을 기입하고, 수행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팀 프로젝트 PM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더 알게 된 한 주였다.
테스트 플레이 그리고, 첫 갈등
첫 주에 내 기획안이 실제 팀 프로젝트 주제로 선정되고, 마음 맞는 사람들끼리 진행하게 되면서 너무 행복했다.
다만, 기획을 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PM은 그만큼 책임도 크다는 것을 이번 주에 알게 되었다.
더불어 확실히 프로젝트 개발이 시작되어 가면서 더더욱 역할 조율 등의 리더로서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2주 차의 케미스트리 팀은 1주 차에 작성한 컨셉 기획안을 바탕으로 기능 개발서를 작성하고, 역할을 나눠 데모 플레이를 만들기로 했다.
물론 다음 주부터 개발 시작이라고 스타터스 커리큘럼에는 쓰여있었지만, 우리 팀 기획 자체가 아예 새로운 느낌이 많다 보니 레퍼런스가 없어 직접 조금 제작해 보면서 어떤 기능이, 클래스가, 구현이 필요한지 알고 싶었다.
그 방법은 나쁘지 않았지만, 다만.. 준비가 덜 되어 있는 점이 많았다.
일단 가장 처음 문제는 클래스 구현이었다.
역할을 나눠서 개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데모 플레이 개발이라고 해도 누군가의 메서드, 변수 등을 가져다 쓰는게 쉬운 것이 아니었다.
특히나 아무런 컨벤션, 클래스 구조 개념이 없는 가운데에서는 더 그러했다.
결국은 한 팀원을 SM(스크럼 매니저)로 해서 먼저 전체적인 클래스 디자인을 SM의 생각을 기반으로 만들었다.
이후엔 확실히 클래스가 나뉘어지니까 서로 어떤 식의 틀로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지 알게 되어 일이 빠르게 진행되기 시작했다.
두 번째 문제는 거의 테스트 플레이 구현이 끝나간다고 생각했을 때에 일어났다.
발단은 오브젝트 검출에 관한 것이었는데, 처음에 생각했던 것보다 오브젝트의 상호작용 조건이 복잡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다 보니 서로 하나의 틀에서 작성했던 코드들이 검출 로직 등을 바꾸면서 다시 작성해야 하는 일이 일어나고, 더불어서 개발 기능이 연관이 되어 있던 팀원은 다음 개발할 내용이 있음에도 그전 로직을 만드는 사람을 기다려야 하는 최악의 상황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에 대해서 수요일 오후부터 논의가 이어졌지만 결국 우리들끼리 해결할 수 없음을 느꼈고, 결국 원래 다음주부터 참여하실 멘토님과 먼저 연락을 해서 만나 뵙고 도움을 구하게 되었다.
목요일 오후 50분정도 이동해서 결국 멘토님을 만나 뵙고, 현업 개발자인 멘토님의 조언을 들을 수 있었다.
퍼즐 게임 검출 로직 문제
- 직접 Ray 등을 쏘아 여러 물체를 검출하는 것은 게임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 (1, 1, 1)의 타일로 되어 있는 게임이라면, 3D 타일맵 데이터를 만들어서(3차원 배열 등으로) 관리하고 인접한 칸에 대해서 작용을 처리해라.
- 각각 블럭에 대한 특성은 비트마스크나 10진수 등으로 데이터화해서 저장해라.
역할 분배 문제
- 탑 다운 방식은 기능을 보고 역할을 잘 구분할 수 있는 관록이 있어야 쉽다.
- 처음에는 다운 탑 방식으로 하라.
- 씬을 나눠 그려보고, 각 씬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작성한 뒤에 다시 그 기능을 관련한 것끼리 묶어서 생각하면 쉽다.
- 클래스로 묶인 기능들도 개발할 때에는 따로 작동할 수 있게끔 파일을 나눠서 개발하고, 테스트 후에 다시 합쳐라.
물론 더 많은 조언들이 있었지만, 위에 해답들이 우리의 문제에 대한 핵심 답안이었다.
특히 기능을 모두 쪼개고, 틀에 먼저 맞춰서 개발하기보다 따로 개발하고 합치는 방법이 서로의 태스크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합치면서 서로의 코드를 확인하고 컨벤션을 진행할 수도 있겠다 싶어 바로 다음 주부터 적용하기로 하였다.
이 일을 통해서 멘토님이 왜 부트캠프에 있고,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확실하게 알게 되었다.
감사합니다. 멘토님!
무엇보다 이번 주는 (멘토님까지 포함해서) 팀원들과의 문제를 계속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얘기하고, 해결을 찾아나가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을 리드하는 것이 PM이기 때문에 내가 얼마나 팀에서 잘 해야 하는 것인지 더 깨달은 시간이었다.
앞으로도 팀을 위해 프로젝트를 위해 소통을 이끌어내고, 최선의 방법을 찾는 멋진 PM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화이팅!
유데미 코리아 바로가기 :
Udemy Korea - 실용적인 온라인 강의, 글로벌 전문가에게 배워보세요. | Udemy Korea
유데미코리아 AI, 파이썬, 리엑트, 자바, 노션, 디자인, UI, UIX, 기획 등 전문가의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www.udemykorea.com
💡 본 포스팅은 유데미-웅진씽크빅 취업 부트캠프 유니티 1기 과정 후기로 작성되었습니다.
'Starters 부트캠프 > B -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데미 스타터스 유니티 개발자 취업 부트캠프 1기 - 프로젝트 코스 4주차 학습 일지 (0) | 2023.02.04 |
---|---|
유데미 스타터스 유니티 개발자 취업 부트캠프 1기 - 프로젝트 코스 3주차 학습 일지 (0) | 2023.01.29 |
유데미 스타터스 유니티 개발자 취업 부트캠프 1기 - 프로젝트 코스 1주차 학습 일지 (0) | 2023.01.15 |
유데미 스타터스 유니티 개발자 취업 부트캠프 1기 - 27주차 학습 일지 (0) | 2022.12.25 |
유데미 스타터스 유니티 개발자 취업 부트캠프 1기 - 26주차 학습 일지 (0) | 2022.12.18 |